율 률 차이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반갑습니다 여러분! 이번 시간에 살펴볼 한글 맞춤법은 '율 률'을 구분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일단 두 글자는 여러 단어의 사용되고 있으며, 단어의 맨뒤에 왔을 때 '율'과 '률' 중 어떤 단어가 와야 할지 헷갈리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두 글자는 발음도 비슷하기 때문에, 단어의 맨 뒤에 올 때 율 률 구분이 쉽지 않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율'과 '률'을 정확하게 구분해보면서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율 률 차이 _ 구분하는 방법
먼저 '율 률'을 쓰이는 단어를 떠올리면, '환율, 법률, 능률, 조율, 전율, 선율, 시청률, 음률,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 알 수 있는 것은 '율'을 써야 할 때와 '률'을 써야 할 때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죠.
1. 율 : 앞 글자의 받침이 없는 경우, 'ㄴ' 받침이 오는 경우
2. 률 : 앞 글자의 받침이 있는 경우(단, 'ㄴ'받침이 오는 경우를 제외합니다.)
위와 같이 '율'과 '률'이라는 단어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고, 글자의 앞에 오는 받침에 따라 어떤 글자를 써야 할지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는 '율'과 '률'이외에도 '열', '렬'에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율 률 구분 _ 왜 헷갈리는 걸까요?
다음으로 '율'과 '률' 우리에게 왜? 헷갈리는지 살펴보면, 한글을 발음할 때 두음법칙이 작용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습니다. 두음법칙에서는 글자의 본음이 '률'로 소리가 나도, '율'로 표기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때는 '율'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율, 선율, 전율, 선율 등을 발음할 때 '률'과 비슷하게 소리가 나더라도 '율'로 표기한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두 글자는 발음으로 맞춤법을 구분하는 게 아니라, 위에서 말씀드린 한글 맞춤법 규칙에 따라 표기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율'과 '률'의 쓰이는 예문을 살펴보면, 어떻게 단어가 쓰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율 률 _ 예문
1. 요리를 할 때 재료나 소스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넣어야 합니다.
2. 앞으로 대한민국의 출생률은 점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 청년 실업률이 매년 증가할 것입니다.
4. 연봉 인상률은 10%로 전 직원이 똑같습니다.
5. 미국 달러의 환율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6.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지켜야 하는 규율이 있습니다.
7. 탄력근무제를 실시한 후에는 직원들의 업무 능률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8. 같이 일하시는 선배님과 업무를 조율하다.
율 률 _ 한글 맞춤법을 정리하면서
지금까지 '율 률'이라는 단어를 구분해 보고, 어떤 이유로 헷갈리는지 등을 살펴봤습니다. 아무래도 두 단어는 두음법칙으로 인해 발음도 비슷하게 나기 때문에 혼동하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기점으로 두 단어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한글 맞춤법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국어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뱃돈 새뱃돈 헷갈리지 않게 구분하기 (2) | 2024.01.27 |
---|---|
사단 사달 정확한 맞춤법 구분하기 (1) | 2024.01.26 |
일절 일체 뜻 이제는 헷갈리지 말자 (0) | 2024.01.23 |
설겆이 설거지 정확한 한글 맞춤법 알아보기 (1) | 2024.01.22 |
꼽다 꽂다 뜻 어떤 단어가 올바른 표기일까요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