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교육

때다 떼다 뜻 어떤 단어가 맞을까요

반응형
때다 떼다 뜻 어떤 단어가 맞을까요

 

반갑습니다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때다 떼다'라는 단어 중에서 어떤 단어가 올바른 한글 맞춤법인지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두 단어는 발음을 할 때도 비슷하게 발음이 되기 때문에 쉽게 혼동이 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두 단어를 헷갈리는 분은 말을 할 때는 맞춤법을 크게 구분하지 않아도,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뜻을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누군가 읽어야 하는 글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맞춤법이 신경 쓰일 수 있어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때다'와 '떼다' 중에서 올바른 한글 맞춤법을 구분해 보고, 정확한 뜻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때다 떼다 이미지

때다 떼다 _ 때다 뜻

우선은 '때다'와 '떼다'라는 단어 중에서 올바른 한글 맞춤법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두 단어 모두 올바른 한글 맞춤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두 단어는 틀린 맞춤법이 아니라 단어 마다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글 단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럼 먼저 때다 뜻부터 살펴보면, '아궁이에 불을 지펴 타게 하다, 남에게 따돌림 혹은 배척을 당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 타게 하다'의 때다의 유의어로는 '시르다, 지피다, 태우다'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장작을 때는 이미지

때다 떼다 _ 떼다 뜻

다음으로 떼다 뜻을 살펴보면, 여러 의미를 가진 한글 단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 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2. 전체 부분에서 한 부분을 덜어 내다.

3. 어떤 것에서 마음이 돌아서다.

 

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단어가 '떼다'라고 할 수 있으며, 유의어로는 '고치다, 꺼내다, 끊다'라는 단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즉 ' 때다'와 '떼다' 모두  올바른 한글 맞춤법이며, 문장이나 상황에 따라 쓰이는 단어가 다른 것뿐이죠.

 

그럼 한글 단어마다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예문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모지 이미지

때다 떼다 _ 예문

1. 시청에서 필요한 서류를 떼다.

2. 학교 담벼락에 붙어 있는 벽보를 떼다

3. 바지에 붙어 있는 가격표를 떼다.

4. 그는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시치미를 뚝 떼다.

5. 초가집에 있는 아궁이를 때다.

6. 캠핑을 하기 위해 장작을 화로에 때다.

7. 군불을 때다.

공부하는 책 이미지

때다 떼다 _ 한글 맞춤법을 공부하면서

오늘은 '때다 떼다'에 대한 단어를 구분해 보는 시간을 가져봤는데요. 앞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두 단어는 모두 올바른 한글 맞춤법이며, 문장에 따라 쓰이는 단어가 다른 것뿐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을 통해 평소 두 단어를 구분하는 게 헷갈렸던 분들은 정확하게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한글 맞춤법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