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및 속담 교육

새옹지마 뜻 유래 알아보자

반응형
새옹지마 뜻 유래 알아보자

새옹지마 이미지

반갑습니다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새옹지마라는 사자성어에 대한 뜻과 유래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말을 종종 하는데요. 

 

이는 인생의 일은 변방의 노인의 말과 같다는 의미로 쓰이며, 우리에게 교훈을 주는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들께서 새옹지마라는 뜻을 알아두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해 봤으니, 공부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새옹지마 국어사전 이미지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새옹지마 뜻 _ 사전적인 의미

먼저 새옹지마 뜻을 살펴보면,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는 사전적인 정의가 있습니다. 즉 인생을 살면서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새옹지마에 사용된 한자를 살펴보면, 변방 새(塞), 늙은이 옹(翁), 갈 지(之), 말 마(馬)로 쓰이며, 중국 전한 시대의 서책인 <회남자> 중 인간훈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이제 어떻게 유래가 되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말 네 마리 이미지

새옹지마 유래

과거 북쪽 변방에 살고 있는 노인이 있었는데, 어느 날 키우던 말이 도망을 가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은 말이 도망을 가서 어떻게 하냐?라고 하며 걱정과 위로를 했는데요. 이때 노인은 걱정하는 것보다, 어쩌면 이 일이 복이 될 수 있겠다고 덤덤하게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도망갔던 말은 다른 말들과 함께 돌아오면서, 주변 마을 사람들을 노인에게 이제 부자가 되었다고 축하해 주었죠. 하지만, 노인은 이 일이 다시 화가 될 수 있다고 하며, 기뻐하지 않고, 덤덤한 표정이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자신의 아들이 말을 타다가 다리를 다치면서 절름 발이가 되었는데요.

 

이에 마을 사람들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라고 하며, 노인을 위로 해주었습니다. 하지만 노인은 다시 이 일이 복이 될 수 있을지 어떻게 알겠냐 하면서, 평온한 표정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얼마 뒤 오랑캐가 쳐들어오게 되면서 마을의 남자들이 징집이 되었는데, 노인의 아들은 절름발이라서 군대 징집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기뻐하는 이미지

새옹지마 뜻 _ 포스팅을 마치면서

여기까지 새옹지마 뜻과 유래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자신에게 기쁜 일이 생겨도 언제 나쁜 일로 변할지 모르고, 한편으로 힘들고 걱정스러운 일이 생겨도, 좋은 일로 변할지 모르는 것이 사람 인생이라고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우리도 인생을 살면서 위기가 찾아오면, 회피하거나 포기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오늘 저랑 같이 알아본 사자성어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노력해봤으면 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새옹지마 포스팅을 마치고 다음에는 더욱 유익한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