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초보은 뜻 유래 반대말 확인하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결초보은'이라는 사자성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누군가에게 도움이나 은혜를 받아 위기를 넘기게 되었다면, 언제 가는 자신을 도와준 사람에게 은혜를 갚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때 우리는 이를 '결초보은'이라고 할 수 있죠.
즉 이 사자성어는 '자신이 입었던 은혜를 결코 잊지 않고, 보답한다'는 의미로 가지고 있으며, 과거에서 부터 유래가 되어,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초보은 뜻과 유래, 반대말을 알아보면서, 자세하게 사자성어를 확인해보려고 하는데요. 만약 이 사자성어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잠시만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결초보은 뜻 _ 結草報恩
먼저 결초보은 뜻을 확인해보면, '풀을 묶어서 은혜를 보답한다'라는 의미의 사자성어 입니다. 물론 유래에서 확인할 테지만, 죽어서도 자신이 받았던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데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결초보은에 사용되는 한자를 확인해 보면, '맺을 결(結), 풀 초(草), 갚을 보(報), 은혜 은(恩)'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결국 한자를 직역하면 뜻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죠.
그렇다면, 풀을 묶어서 어떻게 은혜를 갚았는지 유래에 대해 살펴볼까요?
결초보은 유래 _ <동주열국지>
결초보은 유래는 <동주열국지>에 실려있는 내용에서 유래가 되었는데, 춘추 전국 시대의 오패의 진나라 진문공의 부하 장군이었던 위주는 자신의 두 명의 아들을 불러 자신이 죽거든 자신이 사랑했던 조희라는 첩을 좋은 사람을 골라 시집을 보내라는 유언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위주가 죽고, 위주의 아들 위과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조희를 좋은 양반집에 골라 시집을 보내주었습니다. 그 후 그가 전장에 나가 진나라의 두회와 싸우게 되었는데, 전세가 불리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그의 귀에는 '청초파'라는 소리가 맴돌았죠.
청초파는 당시 어떤 지명의 이름이었고, 그는 전장을 청초파로 옮겨 두회와 싸우게 되었는데, 두 회는 용맹하고, 강한 면모를 보여주는 장수였는데, 위과가 멀리서 봤을 때 어떤 노인이 풀을 엮어 두회가 탄 말의 발이 계속 걸리게 만들었죠. 때문에 말에서 내리고 싸우다가 위과의 포로로 잡히게 되었죠.
그 날밤 위과의 꿈에는 풀을 엮었던 노인이 나와 자신은 조희의 아버지이며, 딸이 좋은 곳으로 시집갈 수 있도록 도와준 은혜를 갚기 위해 한 행동이라고 이야기를 하게 되었고, 이에 결초보은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결초보은 반대말 _ 배은망덕
마지막으로 결초보은 반대말을 살펴보면, '배은망덕'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베푼 은혜를 잊고,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는 뜻의 사자성어이죠.
배은망덕의 사자성어를 보면, '배반할 배( 背), 은혜 은(恩), 잊을 망(忘), 덕 덕(德)'으로 쓰이고 있으며, 사극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결초보은 뜻, 유래, 반대말에 대해 알아봤는데, 사자성어를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한자 및 속담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불인견 뜻 유래를 알아보자 (0) | 2023.11.07 |
---|---|
연목구어 뜻 유래 사자성어 알아보기 (1) | 2023.11.06 |
백문 불여일견 뜻 유래 공부하기 (1) | 2023.11.04 |
형설지공 뜻 유래 비슷한 말 알아보자 (1) | 2023.11.03 |
호가호위 뜻 유래 비슷한 말 정리하기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