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및 속담 교육

절치부심 뜻 유래 와신상담 같이 알아보자

반응형
절치부심 뜻 유래 와신상담 같이 알아보자

절치부심 이미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 같이 알아볼 사자성어는 '절치부심'이라는 사자성어입니다. 우리는 보통 분하거나 속상한 일이 있으면, 속으로 무척 분하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럴 때 '절치부심하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절치부심은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라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이며, 자신이 분노라는 감정을 느낄 때 이와 같은 사자성어를 사용한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본 포스팅에서는 절치부심 뜻을 사전적인 정의로 알아보고, 유래까지 알아본 다음 와신상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절치부심 검색 이미지
이미지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절치부심 뜻 _ 사전적인 정의

우선 국어사전에서 절치부심을 검색해보면,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자신의 분노와 화를 느낄 때 이와 같은 감정을 표현이라고 할 수 있죠.

 

그리고 절치부심에 사용되는 한자를 확인해보면, 끊을 절(切), 이 치(齒), 썩을 부(腐), 마음심(心)'으로 쓰이며, 직역하면 치아가 끊어지고, 마음이 썩는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절치부심의 유래는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아보면, 중국 <사기>의 자객열편 형가 편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분노의 주먹 이미지

절치부심 유래 _ 태자 단의 식객이 된 형가

중국의 전국 시대에는 식견과 검술이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위나라 '형가'는 연나라 태자 '단'의 식객이 되어 그의 충신이자, 조언자로 있을 때 일입니다. 

 

연나라의 태자 단은 진나라의 볼모로 잡혀있다가 간신히 도망쳐 연나라로 돌아왔기 때문에 진나라에게 언제나 복수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던 중 형가는 태자 단에게 진나라의 힘이 막강하지만, 내부에서 난을 일으키려는 시도를 한다면, 충분히 진나라에게 복수를 할 수 있을 거라고 조언을 하게 되는데요.

 

이때 마침 번오기라는 장수가 진나라 왕 눈밖에 나면서 진나라 왕은 번오기를 잡는 사람에게 많은 재물과 상을 내리겠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번오기는 연나라 태자 단에게 찾아와 도움을 받았고, 잠시 연나라에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때 형가는 이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했지만 태자 단은 자신에게 목숨을 맡긴 사람을 어떻게 내칠 수 있냐고 하면서 형가의 제안을 거절하게 됩니다.

 

그래서 형가는 따로 번오기를 만나서 이야기를 했고, 자신이 번오기 장수의 목을 진나라 왕에게 바치면서 진나라 왕과 거리가 가까워질 때 가슴에 비수를 꽂겠다는 계획을 번오기에게 이야기를 해주게 됩니다.

 

이에 번오기는 '제가 밤낮으로 이를 갈면 속을 썩이던 문제이거늘, 단번에 해결해주고, 좋은 가르침이었습니다'라고 하면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하죠. 이에 '절치부심'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와신상담 검색 이미지
이미지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절치부심 와신상담

그럼 마지막으로 절치부심과 비슷한 '와신상담'에 대한 뜻을 살펴보면,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위해 온갖 어려움을 참고 견디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몸을 섶에 눞히고, 맛이 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다는 의미로 전해지고 있으며, 와신상담에 사용되는 한자를 보면,  '누울 와(臥), 섶 신(薪), 맛볼 상(嘗), 쓸개 담(膽)'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