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및 속담 교육

아전인수 뜻 유래 비슷한 말 확인해 보자

반응형
아전인수 뜻 유래 확인해 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사자성어는 '아전인수'입니다. 우리가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켜 아전인수라는 말을 종종 하곤 합니다. 오직 자신만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고, 타인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 행동이나 사람들을 가리켜 부르곤 하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전인수 뜻과 유래를 살펴보고, 비슷한 말까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평소에 아전인수라는 사자성어가 궁금했던 분들은 잠시만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아전인수 이미지

아전인수 뜻  _ 我田引水

먼저 아전인수 뜻을 살펴보면, '자신의 밭에만 물을 끌어온다'라는 뜻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농사를 짓다 보면, 반드시 물이 필요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농사를 지을 때 자신의 논이나 밭에만 물을 가지고 오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이익 먼저 생각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현대에서도 자신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오직 자신을 위한 행동을 하는 경우 아전인수라고 비판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아전인수 한자를 살펴보면, '나 아(我), 밭 전(田), 끌 인(引), 물 수(水)'라고 쓰이고 있으며, 직역하면, 앞서 살펴본 뜻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에 물을 넣은 이미지

아전인수 유래 _ 한자

아전인수 유래는 일본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요. 중국에서 밭을 가리키는 한자는 밭 전(田), 논을 의미하는 한자는 수전(水田)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논농사를 주로 지었던 일본에서 밭이 논을 의미하며, 밭은 화전을 가리키는 한자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본에서 유래되었다고 이야기가 있죠.

 

물론 유래는 일본에서 되었다고 해도, 현재 아전인수라는 사자성어는 우리나라에서 자주 사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이미지

아전인수 비슷한 말 _ 견강부회

다음으로 아전인수 비슷한 말을 확인해 보면, '견강부회'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 사자성어는 이치에 맞지 않은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주장의 조건을 맞도록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이는 도리와 이치가 맞지 않으면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울 때 사용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으며, 타인의 입장이나 의견을 고려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부하려고 검색하고 있는 이미지

아전인수 _ 글을 마치면서

여기까지 아전인수 뜻과 유래 비슷한 말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를 해봤습니다. 아무래도 사자성어를 살펴보면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아전인수, 견강부회와 같은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하죠. 그리고 이번 포스팅을 정리하면서, 평소에 궁금하셨던 분들께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아전인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