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및 속담 교육

소탐대실 뜻 유래 반대말 알아보자

반응형
소탐대실 뜻 유래 반대말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소탐대실이라는 사자성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우리가 작은 일에 욕심을 부리다가, 큰 것을 잃게 되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사자성어를 사용한다고 할 수 있는데요. 즉 소탐대실의 뜻도,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죠.

 

그리고 소탐대실과 비슷한 속담으로는 빈대 잡으려다가 초가삼간을 태운다라는 말이 있죠. 이처럼 작은 일로 인해 큰 피해해를 보게 된다고 했을 때 사용하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탐대실 이미지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탐대실 뜻, 유래, 반대말까지 정리해 보면서, 평소에 해당 사자성어에 궁금했던 분들의 궁금증을 해결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탐대실 뜻 _ 小貪大失

먼저 소탐대실 뜻을 한자 그대로 직역을 해보면, '작을 소(小), 탐낼 탐(貪), 큰 대(大), 잃을 실(失)'이며, 앞서 확인할 수 있었던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잃다'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자를 보면 쉽게 풀이할 수 있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해 해당 사자성어가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눈 앞에 보이는 재물만 생각한다면, 소탐대실을 할 수 있어요!

- 지금 상황에 만족한다면, 소탐대실할 수 있으니,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한자를 쓰고 있는 이미지

소탐대실 유래 _ 춘추전국 시대

과거 중국 춘추전국시대에는 진나라가 촉나라를 공격하려고 했는데요. 당시 촉나라를 정벌하는 게 쉬운 게 아니었습니다. 촉나라는 지리적인 요건 때문에 몇 년간 진나라의 공격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었죠. 그래서 군대를 무작정 밀어붙이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없었죠.

 

그래서 물욕이 많은 촉나라 왕이라는 점을 이용하기로 했던 진나라는 소의 조각상을 만들어 그 안에 황금과 비단으로 채워서 쇠똥의 금이라는 불리면서, 촉나라 왕에게 우호의 예물을 보낸다는 소문을 퍼트리게 되었습니다.

 

이 소문을 듣게 되었던 촉나라 왕은 함정일 수 있다는 신하들의 말을 듣지 않고, 진나라의 사신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촉나라의 성문을 열고 진나라 사신을 맞이했지만, 진나라는 숨겨둔 무기를 꺼내 촉나라를 쉽게 공격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에 촉나라가 멸망하게 되었고, 촉나라의 왕은 작은 물질의 큰 것을 잃었다고 후회를 했다는 데에서 소탐대실이라는 사자성어가 전해졌다고 합니다.

 

서적 이미지

소탐대실 반대말 _ 소실대득, 사소취대

마지막으로 소탐대실 반대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소탐대실의 반대말로는 소실대득, 사소취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실대득은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을 얻는다는 사자성어이며, 사소취대라는 사자성어도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죠, 즉 소탐대실의 경우 작은 걸 얻고, 큰 걸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소실대득, 사소취대은 이와 반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소탐대실에 대한 포스팅을 해봤고, 이상으로 국어 교육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