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및 속담 교육

사상누각 뜻 유래 같이 알아볼까요

반응형
사상누각 뜻 유래 같이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사상누각이라는 사자성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보통은 이 사자성어는 기초가 부족하거나, 기본기가 없을 때 종종 사용하는 사자성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상누각 뜻과 유래를 정리해 보면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해당 사자성어 단어는 들어보셨을 테지만, 정확한 의미를 알지 못한 분들도 있을 수 있으니, 이번 포스팅을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사상누각 이미지

사상누각 뜻 _ 砂上樓閣

먼저 사상누각 뜻을 살펴보기 위해 쓰이는 한자를 보면, 모래 사(砂), 윗 상(上), 다락 누(樓), 문설주 각(閣)으로 사용되며, 이를 직역해 보면, 모래 위에 지은 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한 것처럼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쉽게 무너진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사자성어를 사용하는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들의 지지가 없다면, 사상누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기본적인 지식이 없다면, 응용문제를 풀었을 때 사상누각이야

3. 제대로 배워야 사상누각같은 일이 안 생겨

 

누각 이미지

사상누각 유래 _ <몽계필담> 공중누각

당시 중국 송나라 시절 심괄이라는 학자가 작성한 <몽계필담>에서 나온 대화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대화는 등주라는 지역에서 두 사람의 대화인데요. 등주라는 지역은 사방에 바다가 보이는 지역에서 대화가 나왔다고 할 수 있죠.

 

두 사람의 대화에서 손가락 끝에 보이는 것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했고, 답변은 앞산 말고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고 답변을 했죠. 이때 손가락 끝을 가리킨 사람은 신기루 때문에 도시가 비쳐 보였고, 이를 공중에 뜬 누각 같다고 할 수 있었죠.

 

그래서 대화에서 신기루는 빛의 굴절로 생겨났지만, 당시의 사람들은 이를 보고 기초가 약하다고 뜻의 사상누각을 의미하면서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오래된 누각 이미지

사상누각 뜻 _ 글을 마치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상누각 뜻과 유래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이번 사자성어를 알아보면서, 공부할 때 과연 기초가 제대로 잡혀있는지 한번 더 생각을 해보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을 통해 여러분들께 사상누각에 대한 뜻과 유래를 꼼꼼하게 파악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사상누각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