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및 속담 교육

조삼모사 뜻 유래 한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요?

반응형
조삼모사 뜻 유래 한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 살펴볼 사자성어는 '조삼모사'인데요. 이 사자성어는 상대방에게 술수를 하면서, 상대방을 속이는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삼모사 뜻과 유래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해당 사자성어를 이미 알고 있는 분들도 있겠지만, 만약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이번 시간에 집중해서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조삼모사 이미지

조삼모사 뜻 _ 朝三暮四

먼저 조삼모사 뜻을 살펴보면,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지 모르는 어리석은 상황을 비유할 때 쓰이는데요. 즉 과정에서 순서만 다를 뿐 결과는 같은 것인데, 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할 수 있는 사자성어이죠.

 

그래서 조삼모사의 한자를 살펴보면, '아침 조(朝), 석 삼(三), 저녁 모(暮), 넉 사(四)'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직역하면 아침에는 3개 저녁에는 4개를 의미합니다.

 

그럼 조삼모사가 어떻게 유래가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숭이 이미지

조삼모사 유래 _ 송나라 원숭이

과거 중국 송나라 때 원숭이를 키우는 걸 좋아하는 저공이란 사람이 있었습니다. 저공은 원숭이를 좋아하니깐 원숭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원숭이에게 먹이를 줄 수 있는 도토리를 구하는 게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아침에 도토리 3개를 주고, 저녁에 4개를 주게 되었습니다. 이에 원숭이들은 자신의 먹이가 줄었다는 사실에 반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저공은 할 수 없다는 식으로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4개, 저녁에는 3개를 주게 되었습니다. 이에 원숭이들은 다시 좋아했다는 이야기에서 조삼모사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결국에는 총 7개의 먹이를 주는 것이며, 아침과 저녁에 주어지는 것은 순서만 다를 뿐, 도토리의 개수 동일한 것이죠.

 

새끼 원숭이 이미지

조삼모사 뜻 _ 글을 마치면서

여기까지 조삼모사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결국 결과는 같지만, 과정에서 순서만 다르다고 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문제는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조삼모사라는 사자성어를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사자성어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