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묵자흑 뜻 유래 근주자적까지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사자성어는 '근묵자흑' 혹은 근묵자흑 근주자적'이라고 하는 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해당 사자성어는 주변의 영향을 받을 때 사용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주변에 무엇이 있냐에 따라 상황이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죠.
때문에 이와 같은 사자성어가 배경이 되어, 주변 환경이 중요하다는 말이 괜히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묵자흑 뜻, 유래, 비슷한 말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근묵자흑 뜻 _ 近墨者黑
먼저 근묵자흑 뜻을 살펴보기 위해 쓰이는 한자를 살펴보면, '가까울 근(近), 먹 묵(墨), 사람 자(者), 검을 흑(黑)'으로 사용이 되며, 이를 직역해 보면, '먹물을 가까이 두면, 사람이 검어진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죠.
결국 '근묵자흑'이라는 사자성어는 검은 것을 가까이 두면 자신도 물들어 버린다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속 뜻으로는 사람도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게 될 수 있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이 좋은 사람들이면, 자신도 좋은 사람으로 변하는 것이고, 반대로 좋지 않고 나쁜 사람이면, 자신도 나쁜 사람이 된다는 뜻으로 담고 있죠.

근묵자흑 유래 _ <태자소부잠>
근묵자흑 유래는 중국 서진에서 부현이라는 학자가 저술한 <태자소부잠>이라는 잠언집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전해지는데요. 이 잠언집에는 나오는 말을 요약해서 유래를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쇠, 나무는 일정한 형상이 없기 때문에 겉 틀에 따라 모나거나, 둥글게도 됩니다. 또한 틀을 잡아주는 도지개에 따라 습관, 성질이 걸러진다고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이때 전해지는 말은 붉은색을 가까이하면, 붉게 되고, 먹을 가까이하면, 검게 된다는 '근주자적 근묵자흑'이라는 말이 전해진 것이죠.

근묵자흑 비슷한 말 _ 지란지교, 속담
마지막으로 근묵자흑 비슷한 말로는 공자의 '지란지교'라는 말이 있으며,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라는 속담이 있죠. 이와 같이 서로 근묵자흑과 비슷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변 환경에 따라 자신이 변화하게 된다는 의미를 가진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란지교는 착한 사람과 있으면, 그윽한 난초의 향기가 나는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으며, 착한 사람과 같이 지내면, 자신도 동화되어 착한 사람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악한 사람에게는 악취가 풍기는 어물 가게 안으로 들어간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악한 사람과 같이 어울리게 되면, 자신도 동화되어 악취가 난다고 할 수 있죠.
또한 '맹모삼천지교'라는 말이 있듯이 맹자의 어머니는 맹자의 교육을 위해 3번을 이사했다는 뜻이며, 주변 환경의 중요성은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오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근묵자흑 뜻 _ 글을 마치면서
지금까지 '근묵자흑'이라는 사자성어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물론 이미 해당 사자성어를 알고 계셨던 분들도 있지만, 만약 모르고 계셨던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주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를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면서, 사자성어 포스팅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한자 및 속담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다 배다 뜻 정확한 한글 맞춤법 구분하기 (3) | 2024.01.18 |
---|---|
토사구팽 뜻 유래 반대말 알아보자 (0) | 2023.12.03 |
조삼모사 뜻 유래 한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요? (1) | 2023.11.24 |
막역지우 뜻 유래 비슷한 말 살펴보자 (1) | 2023.11.21 |
사상누각 뜻 유래 같이 알아볼까요 (2) | 2023.11.20 |